DevOps/AWS
-
[AWS] AWS 서버 구축 및 배포 5. AWS EC2에 프로젝트 배포DevOps/AWS 2022. 4. 21. 01:42
저번 포스팅까지 따라왔다면 이제 실제로 배포를 해볼 차례이다. 바로 시작해보자. 1. EC2에 프로젝트 Clone 받기 일단 EC2로 접속해서 밑의 명령어로 git을 설치해주자. sudo yum install git // 깃 설치 git --version // 설치가 완료된 후 설치 상태 확인 git이 설치되었다면 이제 git clone으로 프로젝트를 저장할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생성한 디렉토리로 이동하자. mkdir ~/app && mkdir ~/app/step1 cd ~/app/step1 git repository의 https 주소를 복사해서 클론을 받아온다. git clone 레포지토리 주소 git clone이 끝났으면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파일들이 잘 복사되었는지 확인하고 코드들이 잘 수행되..
-
[AWS] AWS 서버 구축 및 배포 4. AWS RDS 접속 및 확인DevOps/AWS 2022. 4. 15. 04:12
저번 포스팅에서 RDS 인스턴스 생성하는 것까지 마쳤다. 이번에는 내 로컬 PC에서 RDS에 접속해보고, EC2에서도 접속해서 확인해보겠다. 1. 내 PC에서 RDS에 접속해보기 먼저 접근을 위해서 RDS의 보안 그룹에 본인 PC의 IP를 추가하자. RDS의 세부정보 페이지에서 보안 그룹 항목을 클릭하자. 들어가서 인바운드 규칙을 수정할 건데, EC2에 사용된 보안 그룹의 ID를 복사해서 와야 한다. 복사한 보안 그룹 ID와 본인의 IP를 RDS 보안 그룹의 인바운드로 추가하고 규칙 저장을 눌러준다. 여기까지 했다면 RDS와 로컬 PC, EC2 간의 접근이 가능해진다. 이제 실제 접속해보자. 나는 인텔리제이를 사용할 것이다. 유료버전이라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맨 오른쪽 탭에 Database라고 있다. 없다..
-
[AWS] AWS 서버 구축 및 배포 3. AWS RDSDevOps/AWS 2022. 4. 9. 00:41
RDS는 AWS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더 쉽게 설치,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웹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산업 표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경제적이고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용량을 제공하고 공통 데이터베이스 관리 작업을 관리합니다. 라고 공식 홈페이지에 설명되어있다. 이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구축해보자. 1. RDS 인스턴스 생성하기 RDS를 검색해서 선택하고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클릭하자. 이제 RDS 생성 과정이 진행되는데, DB엔진은 MariaDB 를 선택하도록 하겠다. ( 책에서 추천해주었다. MySQl 기반이므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하고 ... 등의 장점이 있다고 한다. ) 템플릿은 현재 사용할 수 있는 프리티어를 선택하자. 여기서는 DB 인스턴스 이름과, 사용자 정보를..
-
[AWS] AWS 서버 구축 및 배포 2. EC2 서버에 접속 및 환경설정DevOps/AWS 2022. 4. 8. 02:17
1. EC2 서버에 접속 Mac 이나 Linux 환경에서는 터미널을 이용하면 되는데, 나는 Window 환경이므로 putty를 이용했다. * putty 에서는 pem 키가 사용이 안된다. 따라서 pem 키를 ppk 파일로 변환해야 한다. putty를 설치하고 나서 puttygen.exe 파일을 실행해준다. 밑의 창이 나오는데 위에 메뉴에서 Conviersions -> import Key 를 선택해서 내려받았던 pem 키를 선택해준다. 그러면 자동으로 변환이 되고 밑에 메뉴에서 Save private Key 를 누르면 ppk 파일을 생성해준다. 경고 메세지는 예를 누르고 넘어가면 된다. 이제 putty.exe 를 실행해서 접속할 준비를 해보자. 접속했을 때 보이는 Host Name 에 다음과 같이 입력해준..
-
[AWS] AWS 서버 구축 및 배포 1. AWS EC2DevOps/AWS 2022. 4. 6. 03:03
AWS를 이용해서 간단한 웹 페이지를 배포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배포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그냥 쉽게 내가 이해한 내용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EC2는 쉽게 서버를 구동시킬 컴퓨터를 빌린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컴퓨터를 빌려서 거기에 내 프로젝트를 올려 구동시키는 것이다. AWS 콘솔로 접속해서 EC2를 검색하여 EC2 서비스를 클릭한다. 그러면 EC2 대시보드가 나오는데,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한다. 인스턴스 생성의 첫 단계로 AMI 를 선택하는데, 나는 그냥 빌릴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선택한다고 이해했다. 나는 프리티어가 사용 가능한 Amazon Linux 2 AMI (HVM) - Kernel 5.10, SSD Volume Type 로 선택했다. 다음..